728x90
반응형
항공공역의 구분을 표 형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항공공역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기준에 따라 제공되는 항공교통업무의 종류 및 수준에 따라 A등급부터 G등급까지 구분됩니다. 각 등급별로 제공되는 서비스, 요구사항,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A등급 공역 (Class A)
- 관제 서비스: 필수적으로 제공
- IFR(계기비행): 허용
- VFR(시계비행): 불허
- 특징:
- 모든 항공기는 반드시 IFR로만 비행 가능
- 모든 항공기가 항공교통관제(ATC)의 지시를 따라야 함
- 예시: 높은 고도의 제트항로 공역(예: FL180 이상 공역)
✅ B등급 공역 (Class B)
- 관제 서비스: 필수적으로 제공
- IFR(계기비행): 허용, 분리 서비스 제공
- VFR(시계비행): 허용, IFR 및 VFR 항공기간 분리 서비스 제공
- 특징:
- 항공교통량이 많은 대형 공항 주변 공역에 지정됨
- 관제사의 지시와 허가 필수
- 예시: 인천공항 등 대형 국제공항 주변 공역
✅ C등급 공역 (Class C)
- 관제 서비스: 필수적으로 제공
- IFR(계기비행): 허용, IFR-IFR 및 IFR-VFR 간 분리 서비스 제공
- VFR(시계비행): 허용, VFR 항공기간 교통정보 제공(요청 시 분리 가능)
- 특징:
- 항공교통량이 많으나 B등급보다는 낮은 중형 공항 주변 공역
- 무선 교신 및 진입 허가 필수
- 예시: 김포공항 주변 공역 등 주요 국내공항 주변 공역
✅ D등급 공역 (Class D)
- 관제 서비스: 필수적으로 제공(제한적)
- IFR(계기비행): IFR 항공기간 분리 제공, IFR-VFR 항공기간 교통정보 제공
- VFR(시계비행): 허용되며, 교통정보 제공 (분리 제공 X)
- 특징:
- 소형 공항 또는 비행장 주변 공역
- 항공기의 무선교신 및 진입 허가 필수
- 예시: 지방 소규모 공항 주변 공역(예: 양양공항 주변)
✅ E등급 공역 (Class E)
- 관제 서비스: 제한적으로 제공
- IFR(계기비행): IFR 항공기에만 관제서비스 및 분리 제공
- VFR(시계비행): VFR 항공기는 관제 서비스 의무 없음, 요청 시 교통정보 제공 가능
- 특징:
- 비교적 항공교통이 적은 지역이나 IFR 항로 주변 공역
- VFR 항공기의 진입 허가는 필요하지 않으나, 자체 분리 책임
- 예시: IFR 항로 주변 저고도 지역 또는 중고도 공역
✅ F등급 공역 (Class F) (한국에서는 미사용)
- 관제 서비스: 조언적 서비스 제공(Advisory Service), 필수 아님
- IFR(계기비행): 허용, 권고 서비스만 제공
- VFR(시계비행): 허용, 서비스 없음(자체 책임)
- 특징:
- 특별한 서비스가 요구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공역
- 제한된 관제 및 조언적 정보만 제공됨
✅ G등급 공역 (Class G) (비관제공역)
- 관제 서비스: 없음
- IFR(계기비행): 자체적으로 다른 항공기와의 분리 책임
- VFR(시계비행): 자체 책임으로 자유롭게 비행 가능
- 특징:
- 모든 항공기가 자체 책임 하에 충돌 회피 및 안전을 책임
- 주로 저고도, 교통량이 적은 시골 지역 등에서 지정
- 예시: 지방의 농촌 지역 또는 해안가 등 인적이 드문 지역 공역
위와 같은 공역 구분은 국제적인 기준이지만, 국가별로 운용 방법 및 세부 기준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한국은 A, B, C, D, E, G 공역을 사용하며, F 공역은 운용하지 않습니다.
728x90
반응형
'데이터 >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비행장교통구역(ATZ)이란? (0) | 2025.03.25 |
---|---|
📌 G등급 공역(Class G Airspace)에 대하여 (0) | 2025.03.25 |
비관제 공역의 구분(조언구역과 정보구역) (0) | 2025.03.25 |
BLDC 모터와 Brush 모터의 비교 (0) | 2025.02.12 |
초경량비행장치(드론) 관련 과태료의 종류 (1)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