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의 신고 대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 연구기관 등이 시험, 조사, 연구 또는 개발을 위하여 제작한 초경량비행장치
- 계류식 무인비행장치
- 동력을 사용하는 인력활공기
- 판매가 목적이나 판매하지 않고 비행하지 않는 초경량비행장치
정답: 3
해설: 동력을 사용하는 인력활공기는 장치신고 대상에 해당합니다. 반면, 연구기관 등이 시험, 조사, 연구 또는 개발을 위하여 제작한 초경량비행장치, 계류식 무인비행장치, 판매가 목적이나 판매하지 않고 비행하지 않는 초경량비행장치는 장치신고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문제 2: 초경량비행장치의 소유자가 변경되었을 경우, 변경 신고를 해야 하는 기간은 언제까지인가요?
- 사유 발생일로부터 7일 이내
- 사유 발생일로부터 15일 이내
- 사유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
- 사유 발생일로부터 60일 이내
정답: 3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소유자가 변경되었을 경우, 사유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변경 신고를 해야 합니다.
문제 3: 다음 중 비행제한공역에서 비행을 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는 무엇인가요?
- 국토교통부 장관의 승인
- 지방항공청장의 승인
- 국방부 장관의 승인
- 해당 지역 관할 경찰서장의 승인
정답: 2
해설: 비행제한공역에서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문제 4: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 비행 전 기체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것
- 비행 중 음주를 하지 않을 것
- 비행 중 항상 시각적 관찰을 유지할 것
- 비행 후 반드시 정비 기록을 작성할 것
정답: 4
해설: 비행 후 정비 기록 작성은 의무 사항이 아닙니다. 그러나 비행 전 기체 점검, 비행 중 음주 금지, 시각적 관찰 유지 등은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입니다.
문제 5: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이 금지된 공역은 어디인가요?
- 통제공역
- 경계공역
- 비행금지구역
- 주의공역
정답: 3
해설: 비행금지구역은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이 금지된 공역입니다. 이러한 구역에서 비행을 하려면 별도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문제 6: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발생 시 보고해야 하는 대상 기관은 어디인가요?
- 국토교통부
- 지방항공청
- 한국교통안전공단
- 항공안전기술원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발생 시 조종자 또는 소유자는 해당 지역의 지방항공청에 보고해야 합니다.
문제 7: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 고도 제한은 얼마인가요?
- 지상으로부터 100m 이하
- 지상으로부터 120m 이하
- 지상으로부터 150m 이하
- 지상으로부터 200m 이하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 고도는 지상으로부터 120m(약 400피트) 이하로 제한됩니다.
문제 8: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 증명을 받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연령은 몇 세인가요?
- 14세
- 16세
- 18세
- 20세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 증명을 받기 위해서는 만 16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문제 9: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성 인증을 받지 않고 비행한 경우, 해당되는 벌칙은 무엇인가요?
-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성 인증을 받지 않고 비행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문제 10: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가 비행 중 주류를 섭취하거나 음주 상태에서 비행한 경우, 해당되는 벌칙은 무엇인가요?
-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 3
해설: 비행 중 주류를 섭취하거나 음주 상태에서 비행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문제 11: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 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한 경우, 부과될 수 있는 과태료는 얼마인가요?
- 100만 원 이하
- 200만 원 이하
- 300만 원 이하
- 500만 원 이하
정답: 4
해설: 비행 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한 경우,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문제 12: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요?
- 비행 전 기체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것
- 비행 중 항상 시각적 관찰을 유지할 것
- 비행 중 통신 장비를 사용하지 않을 것
- 비행 후 반드시 정비 기록을 작성할 것
정답: 4
해설: 비행 후 정비 기록 작성은 의무 사항이 아닙니다. 그러나 비행 전 기체 점검, 비행 중 시각적 관찰 유지 등은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입니다.
문제 13: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발생 시 보고해야 하는 대상 기관은 어디인가요?
- 국토교통부
- 지방항공청
- 한국교통안전공단
- 항공안전기술원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발생 시 조종자 또는 소유자는 해당 지역의 지방항공청에 보고해야 합니다.
문제 14: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한 경우, 부과될 수 있는 과태료는 얼마인가요?
- 100만 원 이하
- 200만 원 이하
- 300만 원 이하
- 500만 원 이하
정답: 4
해설: 비행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한 경우,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문제 15: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가 비행 중 주류를 섭취하거나 음주 상태에서 비행한 경우, 해당되는 벌칙은 무엇인가요?
-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 3
해설: 비행 중 주류를 섭취하거나 음주 상태에서 비행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문제 16: 초경량비행장치의 장치 신고 및 변경신고를 하지 않고 비행한 경우, 해당되는 벌칙은 무엇인가요?
-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 1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장치 신고 및 변경신고를 하지 않고 비행한 경우,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 >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경량비행장치(드론) 관련 과태료의 종류 (1) | 2025.02.12 |
---|---|
초경량비행장치 지도조종자과정 주요 기출문제 10개 (0) | 2025.02.04 |
초경량비행장치 조종교육교관과정 기출문제(인적오류) (0) | 2025.01.17 |
인적 오류 해결 방안 4가지와 충돌방지 시스템(TACS) (0) | 2025.01.08 |
인적 오류(Human Error)에 대하여 (2) | 2024.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