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꼬만 지식 가게

Tiny Wisdom Saves You!

Tiny Wisdom saves You!

데이터/항공

초경량비행장치 조종교육교관과정 기출문제(항공안전법 및 운영세칙)

쪼꼬만 아저씨 2025. 1. 17. 13:22
728x90
반응형

문제 1: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의 신고 대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1. 연구기관 등이 시험, 조사, 연구 또는 개발을 위하여 제작한 초경량비행장치
  2. 계류식 무인비행장치
  3. 동력을 사용하는 인력활공기
  4. 판매가 목적이나 판매하지 않고 비행하지 않는 초경량비행장치

정답: 3

해설: 동력을 사용하는 인력활공기는 장치신고 대상에 해당합니다. 반면, 연구기관 등이 시험, 조사, 연구 또는 개발을 위하여 제작한 초경량비행장치, 계류식 무인비행장치, 판매가 목적이나 판매하지 않고 비행하지 않는 초경량비행장치는 장치신고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문제 2: 초경량비행장치의 소유자가 변경되었을 경우, 변경 신고를 해야 하는 기간은 언제까지인가요?

  1. 사유 발생일로부터 7일 이내
  2. 사유 발생일로부터 15일 이내
  3. 사유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
  4. 사유 발생일로부터 60일 이내

정답: 3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소유자가 변경되었을 경우, 사유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변경 신고를 해야 합니다.

 

문제 3: 다음 중 비행제한공역에서 비행을 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는 무엇인가요?

  1. 국토교통부 장관의 승인
  2. 지방항공청장의 승인
  3. 국방부 장관의 승인
  4. 해당 지역 관할 경찰서장의 승인

정답: 2

해설: 비행제한공역에서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지방항공청장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문제 4: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1. 비행 전 기체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것
  2. 비행 중 음주를 하지 않을 것
  3. 비행 중 항상 시각적 관찰을 유지할 것
  4. 비행 후 반드시 정비 기록을 작성할 것

정답: 4

해설: 비행 후 정비 기록 작성은 의무 사항이 아닙니다. 그러나 비행 전 기체 점검, 비행 중 음주 금지, 시각적 관찰 유지 등은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입니다.

 

문제 5: 다음 중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이 금지된 공역은 어디인가요?

  1. 통제공역
  2. 경계공역
  3. 비행금지구역
  4. 주의공역

정답: 3

해설: 비행금지구역은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이 금지된 공역입니다. 이러한 구역에서 비행을 하려면 별도의 승인이 필요합니다.

 

문제 6: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발생 시 보고해야 하는 대상 기관은 어디인가요?

  1. 국토교통부
  2. 지방항공청
  3. 한국교통안전공단
  4. 항공안전기술원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발생 시 조종자 또는 소유자는 해당 지역의 지방항공청에 보고해야 합니다.

 

문제 7: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 고도 제한은 얼마인가요?

  1. 지상으로부터 100m 이하
  2. 지상으로부터 120m 이하
  3. 지상으로부터 150m 이하
  4. 지상으로부터 200m 이하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 고도는 지상으로부터 120m(약 400피트) 이하로 제한됩니다.

 

문제 8: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 증명을 받기 위해 필요한 최소 연령은 몇 세인가요?

  1. 14세
  2. 16세
  3. 18세
  4. 20세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 증명을 받기 위해서는 만 16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문제 9: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성 인증을 받지 않고 비행한 경우, 해당되는 벌칙은 무엇인가요?

  1.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안전성 인증을 받지 않고 비행한 경우,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문제 10: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가 비행 중 주류를 섭취하거나 음주 상태에서 비행한 경우, 해당되는 벌칙은 무엇인가요?

  1.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 3

해설: 비행 중 주류를 섭취하거나 음주 상태에서 비행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문제 11: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 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한 경우, 부과될 수 있는 과태료는 얼마인가요?

  1. 100만 원 이하
  2. 200만 원 이하
  3. 300만 원 이하
  4. 500만 원 이하

정답: 4

해설: 비행 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한 경우,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문제 12: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요?

  1. 비행 전 기체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것
  2. 비행 중 항상 시각적 관찰을 유지할 것
  3. 비행 중 통신 장비를 사용하지 않을 것
  4. 비행 후 반드시 정비 기록을 작성할 것

정답: 4

해설: 비행 후 정비 기록 작성은 의무 사항이 아닙니다. 그러나 비행 전 기체 점검, 비행 중 시각적 관찰 유지 등은 조종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입니다.

 

문제 13: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발생 시 보고해야 하는 대상 기관은 어디인가요?

  1. 국토교통부
  2. 지방항공청
  3. 한국교통안전공단
  4. 항공안전기술원

정답: 2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사고 발생 시 조종자 또는 소유자는 해당 지역의 지방항공청에 보고해야 합니다.

 

문제 14: 초경량비행장치의 비행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한 경우, 부과될 수 있는 과태료는 얼마인가요?

  1. 100만 원 이하
  2. 200만 원 이하
  3. 300만 원 이하
  4. 500만 원 이하

정답: 4

해설: 비행승인 없이 비행금지구역에서 비행한 경우,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문제 15: 초경량비행장치의 조종자가 비행 중 주류를 섭취하거나 음주 상태에서 비행한 경우, 해당되는 벌칙은 무엇인가요?

  1.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 3

해설: 비행 중 주류를 섭취하거나 음주 상태에서 비행한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문제 16: 초경량비행장치의 장치 신고 및 변경신고를 하지 않고 비행한 경우, 해당되는 벌칙은 무엇인가요?

  1.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 1

해설: 초경량비행장치의 장치 신고 및 변경신고를 하지 않고 비행한 경우,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