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리금균등상환과 원금균등상환은 상환방식에서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 1. 원리금균등상환 (Equal Payment of Principal and Interest)
- 정의
- 원금과 이자를 합친 상환금액이 매달 일정한 방식입니다.
- 특징
- 매달 **납부금액(원금+이자)**이 동일합니다.
- 상환 초기에는 원금 비중이 적고 이자 비중이 큽니다.
- 시간이 지날수록 원금 비중이 증가하고 이자 비중은 감소합니다.
- 초기의 원금상환이 적어 전체 이자부담이 원금균등상환에 비해 많아집니다.
- 장단점
- 장점: 매달 일정한 금액을 상환하므로 재정계획이 용이함.
- 단점: 총 이자 비용이 더 높음.
✅ 2. 원금균등상환 (Equal Payment of Principal)
- 정의
- 매달 갚는 원금이 일정하며, 원금 잔액에 따라 이자가 계산됩니다.
- 특징
- 원금 상환금액이 매달 일정합니다.
- 원금 잔액이 줄어들면서 이자가 점점 감소하기 때문에 납부금액이 초기에 높았다가 시간이 갈수록 점차 낮아집니다.
- 초반 납부액 부담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총 이자 부담이 줄어듭니다.
- 장단점
- 장점: 총 이자 비용이 적음.
- 단점: 초기 납부액 부담이 큼.
✅ 간단한 예시 비교
- 대출금액 1,200만원 / 연이자 5% / 상환기간 1년(12개월) 기준
구분 원리금균등상환 원금균등상환
매월 상환금액 | 매달 약 1,027,298원(고정) | 첫 달 약 1,050,000원, 점점 감소 |
총 이자부담 | 약 127,570원 | 약 126,250원 |
특징 | 월납입 일정, 총 이자부담 높음 | 초기 부담 크나 갈수록 감소 |
📌 상황별 선택 팁
- 원리금균등상환: 소득이 일정하고 안정적이며 매월 고정된 비용을 원할 경우 선택합니다.
- 원금균등상환: 초기 부담이 가능하고 장기적으로 이자를 절약하려는 경우 선택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면, 본인의 재정 상황과 자금계획에 맞추어 가장 합리적인 상환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데이터 > 경제 알려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치기간과 상환기간의 차이는 뭐죠? (0) | 2025.03.25 |
---|---|
아이온큐(IonQ) 미래 전망 심층 분석(ChatGpt4.5 심층 리서치 활용) (0) | 2025.03.19 |
환율이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 (0) | 2024.11.13 |
저축의 힘: 작은 습관이 만드는 큰 변화 (0) | 2024.09.25 |
개인 재정 관리: 돈 잘 법(돈을 잘 다루는 법) (0) | 2024.09.24 |